묘청의 난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1 15:25
본문
Download : 묘청의 난.hwp
순서
묘청의 난
묘청의 난
1. 묘청의 난에 대한 관점 1)고려사/고려사절요 2)신채호
2. 관점의 차이가 나타난 이유
3. 고려사, 고려사절요의 내용 1)고려사 2)고려사절요
4. 직접 서술한 묘청의 난
1. 묘청의 난에 대한 관점
1) 고려사/고려사절요
고려사나 고려사절요에서는 묘청과 정지상에 대한 기록이 중요성 있게 다뤄지지 않고 있따 고려사에서는 묘청이 반란을 일으키기 전의 묘청의 행동들은 서술하고 있지 않으...
묘청의 난
1. 묘청의 난에 대한 관점 1)고려사/고려사절요 2)신채호
2. 관점의 차이가 나타난 이유
3. 고려사, 고려사절요의 내용 1)고려사 2)고려사절요
4. 직접 서술한 묘청의 난
1. 묘청의 난에 대한 관점
1) 고려사/고려사절요
고려사나 고려사절요에서는 묘청과 정지상에 대한 기록이 중요성 있게 다뤄지지 않고 있따 고려사에서는 묘청이 반란을 일으키기 전의 묘청의 행동들은 서술하고 있지 않으며, 반란이 발생한 이후에도 마치 자연재해나 인사이동과 같은 사건들처럼 대수롭지 않은 사건으로 보고 있따 이후의 기록들은 반란군 측의 투항이나, 진압군의 인원구성 등의 기록이 전부이다.
고려사절요에서는 반란 이전의 묘청의 행적이 묘사되어 있는데, 묘청이 자신이 날씨를 조종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나, 술법을 부리는 것을 묘사하는 등 허풍쟁이로 묘사하고 있으며, 기록에도 망령되다, 가증스럽다와 같은 부정적인 어휘를 사용하여 묘청을 평가하고 있따
반면 김부식과 같은 문벌귀족세력에 관련되어는 문장력이 뛰어나다는 칭찬이나 그들의 상소와 인사이동 등을 모두 기록하는 등 굉장히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따
2) 신채호
신채호는 우선 ‘조선歷史(역사)상 일천년내 제일대사건’에서 조선인들의 전통에 대해 의심을 제기하며, 조선인들은 노예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고 그 이유로 묘청의 난의 실패를 들고 있따 그는 묘청의 난을 낭가-불가의 사상 대 유가의 사상, 국풍파 …(To be continued )
레포트/기타
Download : 묘청의 난.hwp( 62 )
묘청,난,기타,레포트
묘청의 난 , 묘청의 난기타레포트 , 묘청 난
설명
묘청의 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