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설에 대해 설명(explanation)하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5 22:29
본문
Download : 스키너.hwp
* 강화는 자주 주어야 한다.
- 행동 후에 싫어하는 혐오자극을 제거해 줌으로써 행동의 확률을 증가시키는 절차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설에 대해 설명(explanation)하시오.
* 1차적 강화물: 선천적으로 reaction 확률을 증가시켜 주는 자극, 학습되지 않은 강화물, 무조건적 강화물
1. 개요: 조작적(작동적, 능동적) 조건화설
* 정적(적극적) 강화: 쾌 자극물(상, 칭찬)을 제시: reaction 후 reaction 확률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는 자극(정적 강화물)을 제시하는 절차
다.
- reaction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reaction 후 싫어하는 자극이나 대상(부적 강화물)을 제거해 주는 절차
3. 강화(Reinforcement): 특정 행동reaction 의 빈도(강도)를 촉진(강화)시키는 절차
조작적 조건화설, 강화, 강화물
* 부적(소극적) 강화물: reaction 을 한 후 제거했을 때 그 reaction 의 확률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는 자극
설명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설에 대해 요약, 정리하였습니다. 개요: 조작적(작동적, 능동적) 조건화설, 조작적 조건형성의 원리, 강화(Reinforcement): 특정 행동反應(반응)의 빈도(강도)를 촉진(강화)시키는 절차, 강화계획: 강화조건의 패턴화, 벌(Punishment): 특정 행동反應(반응)의 빈도(강도)를 감소(약화)시키는 절차, 작동화 조건화 이론의 한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중립자극이었던 것이 1차적 강화물과 연결되어 reaction 확률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획득한 강화물
레포트 > 교육계열
* 정적(적극적) 강화물: reaction 을 한 후 제시했을 때 그 reaction 의 확률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는 자극
2. 조작적 조건형성의 원리
③ 강화물의 종류
* 강화는 반드시 reaction 을 한 후에 주어야 한다. 즉, 바람직한 reaction 을 할 때만 강화를 주어야 한다. 개요: 조작적(작동적, 능동적) 조건화설, 조작적 조건형성의 원리, 강화(Reinforcement): 특정 행동반응의 빈도(강도)를 촉진(강화)시키는 절차, 강화계획: 강화조건의 패턴화, 벌(Punishment): 특정 행동반응의 빈도(강도)를 감소(약화)시키는 절차, 작동화 조건화 이론의 한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설





순서
6. 작동화 조건화 理論(이론)의 한계
- 처음에는 강화의 기능이 없었던 물건이나 대상이 인간의 본능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1차적 강화물과 연결되어 강화의 기능을 지니게 되는 것: 학습의 범위를 확대시키는 역할: 돈은 처음에는 종이게 지나지 않지만 1차적 강화물(음식, 옷)과 결합을 통하여 강력한 보상이 된다
4. 강화계획: 강화조건의 패턴화
* 부적(소극적) 강하: 불쾌 자극물(꾸중, 벌 청소, 잔소리)을 제거
* 2차적 강화물: 학습된 강화물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설에 대해 요약, 정리하였습니다.
① 강화의 조건
3. 강화(Reinforcement): 특정 행동reaction 의 빈도(강도)를 촉진(강화)시키는 절차
Download : 스키너.hwp( 97 )
② 강화의 종류
5. 벌(Punishment): 특정 행동reaction 의 빈도(강도)를 감소(약화)시키는 절차
* 강화는 reaction 에 수반되어야 한다. * 강화는 reaction 후 즉시 제시해야 한다.